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은 중국 청두에서 개최된 여자 축구 대회이다. 오스트레일리아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일본이 3위, 중국이 4위를 기록했다. 대회 최우수 선수로는 조윤미가 선정되었고, 안도 코즈에가 3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 - 2010년 아시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2010년 아시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는 2010년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하고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선수 명단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선수 명단은 대회에 참가한 8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정보를 담고 있으며, 각 팀의 감독, 선수 정보, 포지션, 생년월일 등을 수록하고, 대회 관련 논란도 함께 다루고 있다. -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은 본선 진출팀을 결정하기 위한 대회로, 일부 팀은 예선을 면제받고 1, 2차 예선을 거쳐 미얀마, 태국, 베트남이 본선에 진출했다. -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 2010년 CONCACAF 여자 월드컵 지역 예선
2010년 CONCACAF 여자 월드컵 지역 예선은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의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을 겸한 대회로, 캐나다와 멕시코가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고 미국이 플레이오프를 통해 진출했으며, 2011년 팬아메리카 게임 여자 축구 예선도 겸하여 코스타리카와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출전권을 얻었다. -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 2010년 아프리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10년 아프리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되어 나이지리아가 적도 기니를 꺾고 우승했으며, 총 8개국이 본선에 참가했다.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AFC 여자 아시안컵 |
개최 연도 | 2010년 |
개최 기간 | 5월 19일 – 5월 30일 |
개최 도시 | 청두 시 |
참가 팀 수 | 8 |
참가 연맹 수 | 1 |
경기 장소 | 청두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솽류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
경기 수 | 16 |
총 득점 | 45 |
총 관중 수 | 59910 |
결과 | |
득점왕 | 안도 고즈에 사와 호마레 조윤미 유영아 (3골) |
대회 역사 | |
이전 대회 | 2008년 |
다음 대회 | 2014년 |
2. 참가 팀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성적에 따라 다음 5개국이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우승 팀)
- 중국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팀)
- 일본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3위 팀)
- 오스트레일리아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4위 팀)
- 대한민국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5위 팀)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을 통해 다음 3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2. 1. 본선 직행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성적에 따라 다음 5개국이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우승 팀)
- 중국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팀)
- 일본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3위 팀)
- 오스트레일리아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4위 팀)
- 대한민국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5위 팀)
2. 2. 예선 통과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을 통해 다음 3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예선 A조 1위)
- (예선 B조 1위)
- (예선 C조 1위)
3. 경기장
모든 경기는 중국 청두에 위치한 다음 두 경기장에서 열렸다.
경기장 | 위치 | 수용 인원 | 비고 |
---|---|---|---|
청두 스포츠센터 | 청두 | 42,000명 | 본 대회 조별 리그, 결선 토너먼트 |
솽류 스포츠센터 | 청두 | 불명 | 본 대회 조별 리그 |
4. 선수 명단
대회에 참가한 8개국의 선수 명단은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선수 명단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5. 심판
총 9명의 주심과 9명의 부심이 대회에 배정되었다.[3]
주심
부심
- 오스트레일리아 사라 호
- 오스트레일리아 클레어 플린
- 중국 장링링
- 중화 타이베이 류 시우메이
- 일본 타카하시 사오리
- 일본 아유카이 시호
- 말레이시아 위디야 하비바 빈티 삼수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홍금녀
- 대한민국 김경민
5. 1. 주심
총 9명의 주심과 9명의 부심이 최종 토너먼트에 배정되었다.[3]- 오스트레일리아 사라 호
- 오스트레일리아 클레어 플린
- 중국 장링링
- 중화 타이베이 류 시우메이
- 일본 타카하시 사오리
- 일본 아유카이 시호
- 말레이시아 위디야 하비바 빈티 삼수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홍금녀
- 대한민국 김경민
5. 2. 부심
총 9명의 주심과 9명의 부심이 최종 토너먼트에 배정되었다.[3]- 사라 호/Sarah Ho영어
- 클레어 플린
- 장링링
- 류 시우메이/劉秀美중국어
- 타카하시 사오리
- 아유카이 시호
- 위디야 하비바 빈티 삼수리
- 홍금녀
- 김경민
6. 조별 리그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 조 추첨은 2009년 11월 21일에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에서 진행되었다.[4]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일본 | 9 | 3 | 3 | 0 | 0 | 14 | 1 | +13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6 | 3 | 2 | 0 | 1 | 6 | 2 | +4 |
태국 | 3 | 3 | 1 | 0 | 2 | 2 | 7 | -5 |
미얀마 | 0 | 3 | 0 | 0 | 3 | 0 | 12 | -12 |
- ---
2010년 5월 2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청두의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태국을 상대로 3 – 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일본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미얀마를 8 – 0으로 대파했다. 이 경기는 대한민국의 홍은아 심판이 주관했다.
2010년 5월 22일, 태국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일본에게 0 – 4로 패배했다. 같은 날, 미얀마는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0 – 2로 패했다.
2010년 5월 2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일본에게 1 – 2로 졌다. 이 경기 역시 대한민국의 홍은아 심판이 주관하였다. 같은 날, 미얀마는 솽류 스포츠 센터에서 태국에게 0 – 2로 패했다.
2010년 5월 19일, 오스트레일리아는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베트남과의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중국과 대한민국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0년 5월 21일, 대한민국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오스트레일리아에게 1-3으로 패배했다. 같은 날, 베트남은 솽류 스포츠 센터에서 중국에게 0-5로 대패했다.
2010년 5월 23일, 중국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1-0으로 꺾었다. 같은 날, 베트남은 솽류 스포츠 센터에서 대한민국에게 0-5로 다시 한번 크게 패했다.
6. 1. A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일본 | 9 | 3 | 3 | 0 | 0 | 14 | 1 | +13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6 | 3 | 2 | 0 | 1 | 6 | 2 | +4 |
태국 | 3 | 3 | 1 | 0 | 2 | 2 | 7 | -5 |
미얀마 | 0 | 3 | 0 | 0 | 3 | 0 | 12 | -12 |
- ---
2010년 5월 2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청두의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태국을 상대로 3 – 0 승리를 거두었다.존 명화/John Myong-hwa영어가 전반 1분, 김용애/Kim Yong-ae영어가 전반 2분, 조윤미/Jo Yun-mi (footballer, born 1987)영어가 후반 28분에 득점하였다.
같은 날, 일본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미얀마를 8 – 0으로 대파했다. 이와시미즈 아즈사/岩清水梓일본어가 전반 4분, 사와 호마레/澤穂希일본어가 전반 10분과 후반 26분, 야마구치 마미/山口麻美일본어가 전반 28분(페널티킥)과 후반 15분, 사메시마 아야/鮫島彩일본어가 후반 5분, 미야마 아야/宮間あや일본어가 후반 9분, 가미오노베 메구미/上尾野辺めぐみ일본어가 후반 40분에 득점하였다. 이 경기는 대한민국의 홍은아 심판이 주관했다.
2010년 5월 22일, 태국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일본에게 0 – 4로 패배했다. 다카세 메구미/高瀬愛実일본어가 전반 28분, 나카노 마나미/中野真奈美일본어가 전반 42분, 우쓰기 루미/宇津木瑠美일본어가 전반 추가시간 3분, 안도 코즈에/安藤梢일본어가 후반 10분에 득점하였다.
같은 날, 미얀마는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0 – 2로 패했다. 윤성미/Yun Song-mi영어가 전반 17분, 조윤미/Jo Yun-mi (footballer, born 1987)영어가 후반 39분에 득점하였다.
2010년 5월 2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일본에게 1 – 2로 졌다. 라은심/Ra Un-sim영어이 후반 25분에 득점하였고, 일본의 안도 코즈에/安藤梢일본어가 전반 4분(페널티킥), 나가사토 유키/長里優季일본어가 전반 14분에 득점하였다. 이 경기 역시 대한민국의 홍은아 심판이 주관하였다.
같은 날, 미얀마는 솽류 스포츠 센터에서 태국에게 0 – 2로 패했다. 준펜 시스라움/Junpen Seesraum영어이 전반 15분, 와라냐 차이칸트리/Waranya Chaikantree영어가 후반 44분에 득점하였다.
6. 1. 1. 경기 결과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일본 | 9 | 3 | 3 | 0 | 0 | 14 | 1 | +13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6 | 3 | 2 | 0 | 1 | 6 | 2 | +4 |
태국 | 3 | 3 | 1 | 0 | 2 | 2 | 7 | -5 |
미얀마 | 0 | 3 | 0 | 0 | 3 | 0 | 12 | -12 |
- ---
2010년 5월 2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청두의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태국을 상대로 3 – 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일본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미얀마를 8 – 0으로 대파했다. 이 경기는 대한민국의 홍은아 심판이 주관했다.
5월 22일, 태국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일본에게 0 – 4로 패배했다.
같은 날, 미얀마는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0 – 2로 패했다.
5월 2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일본에게 1 – 2로 졌다. 이 경기 역시 대한민국의 홍은아 심판이 주관하였다.
같은 날, 미얀마는 솽류 스포츠 센터에서 태국에게 0 – 2로 패했다.
6. 2. B조
2010년 5월 19일, 오스트레일리아는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베트남과의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중국과 대한민국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0년 5월 21일, 대한민국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오스트레일리아에게 1-3으로 패배했다. 같은 날, 베트남은 솽류 스포츠 센터에서 중국에게 0-5로 대패했다.
2010년 5월 23일, 중국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1-0으로 꺾었다. 같은 날, 베트남은 솽류 스포츠 센터에서 대한민국에게 0-5로 다시 한번 크게 패했다.
6. 2. 1. 경기 결과
2010년 5월 19일, 오스트레일리아는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베트남과의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중국과 대한민국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0년 5월 21일, 대한민국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오스트레일리아에게 1-3으로 패배했다. 같은 날, 베트남은 솽류 스포츠 센터에서 중국에게 0-5로 대패했다.
2010년 5월 23일, 중국은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1-0으로 꺾었다. 같은 날, 베트남은 솽류 스포츠 센터에서 대한민국에게 0-5로 다시 한번 크게 패했다.
7. 결선 토너먼트
4강 진출 팀은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
2010년 5월 27일에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두 경기가 열렸다. 첫번째 경기는 일본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케이트 길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관중은 1,200명이 입장하였다. 두번째 경기는 중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김경화의 연장전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관중은 12,500명이 입장하였다.
2010년 5월 30일,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일본과 중국과의 3·4위전 경기는 안도 코즈에와 사와 호마레의 골로 일본이 2-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에서 승리한 일본은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진출권을 획득했다. 심판은 대한축구협회의 홍은아가 맡았으며, 5,8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2010년 5월 30일 청두의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결승전은 1-1 무승부 후, 연장전을 거쳐 승부차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5-4로 승리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커가 전반 19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후반 73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윤미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승부차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는 시파드, 레드브룩, 길, 가리옥, 사이먼이 모두 성공시킨 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윤미, 최영심, 유정희, 문철미가 성공시키고 윤송미가 실축하여 오스트레일리아가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는 일본의 사치코 야마구치가 심판을 맡았으며, 1,20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7. 1. 대진표
7. 2. 준결승전
2010년 5월 27일에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두 경기가 열렸다. 첫번째 경기는 일본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케이트 길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관중은 1,200명이 입장하였다. 두번째 경기는 중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김경화의 연장전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관중은 12,500명이 입장하였다.7. 3. 3·4위전
2010년 5월 30일,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일본과 중국과의 3·4위전 경기는 안도 코즈에와 사와 호마레의 골로 일본이 2-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에서 승리한 일본은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진출권을 획득했다. 심판은 대한축구협회의 홍은아가 맡았으며, 5,8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7. 4. 결승전
2010년 5월 30일 청두의 청두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결승전은 1-1 무승부 후, 연장전을 거쳐 승부차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5-4로 승리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커가 전반 19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후반 73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윤미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승부차기에서 오스트레일리아는 시파드, 레드브룩, 길, 가리옥, 사이먼이 모두 성공시킨 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윤미, 최영심, 유정희, 문철미가 성공시키고 윤송미가 실축하여 오스트레일리아가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는 일본의 사치코 야마구치가 심판을 맡았으며, 1,20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8. 우승
오스트레일리아
1번째 우승